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90호] 미픽 구독🙆‍♀️ 미Q 좋아요👍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BMCaHnD2_48559bde2617c440de712b3e4add8e813f6a6cef.png
3672788535_lhJnvNXZ_8f3a2e8d0535287c1974d23aa1c2f06121246299.gif
3672788535_G9OeYgD6_e2e133c8ef383c9f49497b1ab9f82e2c81ecedd3.png

편집권 독립’ 2023년 신문법 개정의 의미

 

윤여진 l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


지난 2월 8일 국회소통관에서 신문법 일부개정안 내용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이 있었다. 대표발의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홍익표 위원장과 언론노조, 언론개혁시민연대, 언론인권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번 신문법 개정안은 신문사를 새롭게 등록하거나 양도합병하고자 하는 자가 편집제작운영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조항(신문법 제 9조 제 1항 제 12)을 신설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그 계획서에 편집의 독립성 보장과 독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신문사 양도합병 시 신문 종사자들이 미리 인수합병을 시도하는 사업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신문 종사자들과 새로운 사업자가 계획서의 내용을 두고 편집권 독립에 관한 협약을 추진하거나 보완을 요구하는 투쟁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3672788535_RGuopM1k_3384aadb63b76e41d908173867fd31665a792ac9.png
최근 언론인권센터 유튜브 채널 〈미픽〉에서 새로운 콘텐츠들이 업로드 되고 있죠. 언론인권통신으로도 알려드리고 있고요. 이른바 〈미Q〉 프로젝트입니다. ‘미디어에 대한 세상의 모든 질문’이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인데요. 이 콘텐츠에는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거나 저학년에 재학 중인 어린이의 부모 3명이 출연 중입니다. 자녀들의 스마트 기기 사용 문제에 대해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부모들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면서 저마다의 대안을 찾아가는 구성이죠.
어떻게 언론인권센터가 이런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이 프로젝트를 처음 제안해 주신 김태훈 지역스토리텔링연구소장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3672788535_IwrVm8qz_f8bc2b06c998723afe9bf85e87531cb390edb80f.jpg
↑ 김태훈 지역스토리텔링 연구소장

Q1. 〈미Q〉 프로젝트를 제안하신 배경은 무엇인가요?
우연한 상황이었어요. 윤여진 이사님과 서로 신세 진 거 때문에 식사하고 차 마시는 자리였죠. 자연스럽게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미디어 리터러시가 주제가 됐습니다. 주제가 그쪽으로 흐른 까닭은 지금 세상에서 언론이 차지하는 위상이 많이 달라졌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소셜미디어가 등장하기 전만 해도 언론이 아니면 사회에서 소통하기가 거의 불가능했잖아요. 그런데 잘못된 언론 보도로 피해가 생기고, 그래서 언론인권센터도 만들어졌잖습니까? 하지만 지금의 언론은 과연 비판과 감시만으로 바로잡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소셜미디어가 주도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대중의 눈길만 끌 수 있다면(트래픽) 무슨 짓이든 하겠다고 덤비는 언론사는 우리가 알던 20세기 언론사와는 많이 다른 거 같습니다. 그래서 20세기 방식이랄 수 있는 언론에 대한 비판과 감시만으로 과연 미디어 환경을 바꿀 수 있을까 회의가 들었죠.

지금은 대중이 미디어 소비자이기도 하지만 생산자이기도 하잖아요? 20세기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기성 언론과 방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었다면, 지금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 자체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또 주체적으로 다룰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이 스스로 미디어를 다룰 줄 알아야 소셜미디어에서 건강한 소통 환경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렇다면 언론인권센터의 시선이 ‘언론과 방송사’가 아니라 ‘미디어 이용자’에게로 옮겨가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 속에서 주체성을 갖고 활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지금 시대의 언론인권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Q2. 문제의식은 굉장히 큰데 프로젝트 내용은 일반 가정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소소한 주제 같거든요. 어떻게 아이들의 스마트 기기 이용 문제를 첫 번째 주제로 잡았나요?
자연스러운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지름길은 ‘아이들’인 거 같습니다. 산업혁명 때 어린이 대상으로 의무교육 제도가 시작된 게 우연이 아니잖아요? 종교도 자기를 선전할 때 어린이학교부터 만들지 않습니까? 어떤 변화든 자연스럽게, 또 효과적으로 시작하는 출발점으로 어린이 이상이 없는 거 같습니다.
또 어린이부터 시작한 건 공감대 때문이기도 했어요. 지금 대한민국은 너무 갈라져 있잖아요. 이념적으로도 그렇고 계층적으로도 그렇구요. 하지만 더 큰 갈등은 세대간에 일어날 거라고 예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당장 노인 혐오부터 ‘노키즈 존’까지 우후죽순처럼 삐져나오고 있잖아요. 세대간의 간격을 벌이는 핵심 장치가 바로 미디어가 아닐까 싶어요. 정치적 입장 차이 때문에 대화가 안 되는 경우야 전세계적인 현상이잖습니까? 그런 걸 우리처럼 조그만 센터가 어떻게 대응하겠어요. 하지만 세대간을 갈라놓는 미디어 문제는 우리가 좀 해볼 여지가 있지 않을까요?

청소년이 있는 가정은 이미 되돌리기 어려울 정도로 소통이 단절된 경우가 많아요. 같은 가정에 살지만 서로 다른 언어를 이용하는 외국인들 같아졌어요. 거실이나 식탁에 앉아도 스마트폰만 보고 서로의 눈길을 외면합니다. 이런 게 쌓이면 단절의 골이 깊어지고 사회적인 갈등 요소가 되지 않겠습니까? 그런 점에서 아직 사이가 벌어지지 않은, 벌어졌어도 그 폭이 크고 깊지 않은 단계에서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찾아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어린이에게 초점을 맞췄어요. 이 프로젝트에서 자신감이 생기면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또 중학생으로, 고등학생으로 확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Q3. 〈미Q〉는 그럼 유튜브 전용 프로젝트인가요? 다른 계획은 없나요?
일단 유튜브에서 의미 있는 반응을 이끌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유튜브 전용은 애초부터 아니었습니다. 유튜브는 그야말로 ‘채널’입니다. 여기에서 비슷한 고민을 하는 분들을 만나고, 소통하는 게 1차 목적이구요, 그게 이뤄지면 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진짜 하고 싶은 걸 해야겠죠?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든지, 관련 연구를 추진한다든지, 그 내용을 모아서 교재를 만든다든지, 서적을 편찬한다든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유튜브를 수단으로만 사용하겠다는 것도 아닙니다. 저는 이 채널과 콘텐츠들이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사회적인 아젠다를 세팅하는 종자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번 기획을 하면서 여러 번 확인한 것 중에 하나가 대한민국의 모든 부모들, 나아가 전세계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바로 이런 미디어 문제로 엄청나게 고민하고 있다는 사실이에요. 저는 이 관심과 걱정이 어떤 면에서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관심과 걱정도 엄청난 에너지잖아요. 그 에너지를 우리가 잘 모을 수 있다면, 우리 사회가 가진 거대한 미디어 문제까지도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힘이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Q4. 우리 언론인권센터 회원들과 〈미Q〉 시청자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요?
기획을 해서 콘텐츠를 내놓기는 했는데, 처음 생각했던 것처럼 더 프로젝트로 키워가기 위해서는 구독자, 시청자들의 반응이 필수입니다. 우선 회원 여러분부터 ‘좋.댓.구.알’(좋아요-댓글-구독-알림설정) 부탁 드리구요, 주변에 아이 키우는 부모님 계시면 소문도 내주시고, 기왕이면 동네 커뮤니티 같은 데 소개해주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우리 센터도 미디어 소비자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비슷한 고민도 공유하고, 또 대안도 함께 모색하면서 미디어가 건강한 세상, 소통이 원활한 사회를 만들어갔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미디어에 대한 세상의 모든 질문 : 미Q

언론인권센터가 아이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고민을 안고 있는 엄마아빠들을 한 자리에 모았습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우리아이 스마트폰 사줘야 할까?
3월 입학을 앞두고 걱정이 앞서는데... 나만 이런 고민하는 걸까?
집집마다 다른 미디어 이용규칙, 과연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어떻게 정해야 할까?

쉽게 꺼내지 못했던 아이의 미디어 관련 고민들을 풀어보는 자리,
미Q와 함께 갑갑하고 막막했던 고민들을 차근차근, 헤쳐나가 볼까요?

* ‘미디어에 대한 세상의 모든 질문’ 미Q!*
매주 수요일, 토요일, 언론인권센터 유튜브 '미픽'을 통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댓글, 구독 모두 좋아요 👍 
3672788535_9lBPyKpR_9c4307168be28505efb9f2cdcb217e2588307cb4.png
구독자 분들이 보다 자유롭게 작성한 칼럼으로 자유롭게 운영되는 칼럼의 유토피아!
[칼럼토피아]로 제목을 붙여 칼럼 원고를 presswatch.korea@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보내주신 칼럼은 사무처의 의견나눔 후 그 주 또는 그 다음주 언론인권통신과 함께 발송됩니다.
3672788535_FCcfZIK5_21f23e4bda669ad7a022c08b28dcff1008454955.png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로 인한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댓글'의 철저한 관리 및 운영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꾸준히 진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메일제목에 [댓글피해]라고 말머리를 적은 뒤
3. 메일 내용에 피해 내용을 적어 제보해주세요.

접수된 내용을 검토 후, 필요한 경우 법률 상담 및 자문을 제공하고

법적 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와드립니다.

3672788535_F1gMLTsp_bbdfc94fcfc17fb9bbe3393ee0272174c46afcd3.png
언론인권통신을 읽고 느낀 점이나 더 나누고 싶은 주제들이 있는데...
더 많은 이야기를 와글와글 복작복작 나누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이 코너에 짤막하게 적어 보내주세요!
그 주 또는 그 다음주 언론인권통신과 함께 발송됩니다.
3672788535_ScNo5KgD_ffb28d71ad7e4aaceab54f1891475b52aa3f0941.png3672788535_HxVO5aGR_c7ec48ad9b7677420d905b4e8eee847d6a4d83fa.png3672788535_RQ5qhtWI_96b7f38c8733bdda038e659fa8d43f87e23027cb.png3672788535_P3B5h6Zk_6eaf4a479891703424e5932ce64faa3d7f6fa993.png3672788535_VJkNnC3s_ca050a740c2e43a92d82da00971f70082454c7a3.png3672788535_pyUdgDL5_5b4aa48262b226530877d356c0af8c98af7d5e69.png
3672788535_cItDv9Uu_a86e7b0eddf0eff3f3681e27406276d716efebd8.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