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74호] 착취의 세상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ZivnPKw6_c58478180c40026d7b0daaedd6ccd938e8c8bc3a.png
3672788535_DOWmjBvY_fa8590894b43e586403caf4ffd1ec2873c2b960e.gif
3672788535_Q4580K7h_bcf7fb112881a0d07c62fdbf79b9bf7105f757a2.gif
3672788535_a14okGt3_e0bfdab82200f9c2f84af8d45545d61406e6e64a.gif

지난 번 위클리 미디어픽에서 BBC News 코리아의 〈K-웹툰의 그늘, '웹툰 공장’의 작가들〉 영상을 통해 한국 웹툰 작가들의 열악한 노동 환경을 공유했었지요. 오늘은 웹툰 작가들의 노동 강도와 임금을 비롯한 한국 웹툰 생산 현장의 그늘을 다룬, 중앙일보 ‘밀실’ 팀의 〈웹툰공장 2022〉 기사 시리즈를 가져왔습니다.

 

① 앉아서 그림만 그리다 숨졌다…웹툰 작가 죽이는 '공포의 말' [밀실]

② 수익 150만원이 빚 25만원 된다…그릴수록 '홧병'나는 작가들[밀실]

③ "이름 가리면 구별 못한다" 이런 말까지 나온 요즘 웹툰, 왜 [밀실]

(종합) 12명중 10명 지병, 37세에 목숨 잃기도…'집단과로' 빠진 K웹툰


웹툰 작품을 직접 제작하는 작가, 웹툰이 업로드되고 독자에게 노출되는 창구 역할을 하는 플랫폼, 작가와 플랫폼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제작사(에이전시나 스튜디오), 이 세 주축이 웹툰 제작 환경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웹툰 작가들이 처해 있는 높은 노동 강도나 일부 ‘스타’ 웹툰 작가의 수익에 가려진 대다수 작가들의 낮은 수익 문제를 해결하는 길은 이 사이에 놓여 있죠.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조회수와 유료 결제 시스템 등은 작품 사이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부추기고, 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더더욱 작가가 ‘갈려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플랫폼과 제작사와 ‘프리랜서’ 형태로 계약하기 때문에 휴식도, 임금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세 축에 분배되는 수익의 불공정함도 문제적입니다. 플랫폼과 제작사, 작가가 나눠 갖는 비율 뿐만 아니라, ‘MG(Minimum Guarantee)’의 존재 때문입니다. MG는 1화 당 작가에게 지급되는 말 그대로의 ‘최소수익’으로서 선금으로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그러나 이미 업계 일반의 계약 관행이 되어버린 ‘후차감 MG’의 형태는 이후 작가 몫으로 분배된 수익에서 선지급된 MG를 차감하는 형식이라는 것이 문제적인데요. 이 때문에 작가의 수입은 웹툰 전체의 수익에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고, 심지어 작가의 몫이 마이너스가 되어 빚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구조에 대해 2017년부터 꾸준히 문제를 제기해 온 트위터 계정 ‘웹컨텐츠계_공정계약을_위하여(@creative_2017)’에 따르면, 앱 결제 수수료 등까지 수익에서 제해지기 때문에 실제로 작가가 정산받는 금액은 기사에 언급된 계산 결과보다 더욱 낮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링크) 이를 비롯하여 다양한 독소 조항을 명시한 웹툰 작가-플랫폼/제작사 간 불공정 계약은, 꾸준한 모니터링과 문제제기에도 여전히 성행하고 있습니다.


한국 웹툰 시장의 규모는 매우 커졌고, 최근에는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적 문제들은 한국 웹툰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OTT 서비스를 비롯해 동영상 형태의 콘텐츠가 선호되고 있는 데다, 불법 웹툰 유통 역시 늘어나고 있어 웹툰 시장의 성장세는 주춤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 속에서는 참신하고 질 높은 작품이 나오기를 기대하기 어렵고, 어려움을 돌파할 수 있을 동력 역시 찾기 어려울 것입니다.

 

3672788535_Xd59iNPM_3c5e81898cb09a6d7f07792ce5468da0dbbe06c2.png
3672788535_n0ojQZwY_d515670805049af839beb45bd6053daae139854d.gif

오늘의 불편한 시선은 ‘특정한 몸’을 강요하는 아이돌 산업과 이를 재생산하는 언론’에 있습니다.

 

얼마 전 한 여성 아이돌의 마른 몸이 팬들의 걱정을 사고 있다는 기사가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보도된 영상에 달린 댓글에는 해당 멤버의 건강 상태를 걱정하는 팬들의 댓글로 가득했지요. 최근 데뷔한 여성 아이돌의 여정을 담은 홍보용 다큐멘터리 영상에서 관계자의 (아이돌의) ‘자기 관리’라는 말이 유사한 맥락에서 팬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모두 아이돌의 ‘몸’에 대한 K-POP 문화의 그늘을 일부 드러낸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문화가 조성된 데에 언론, 특히 연예 미디어에 책임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연예 기사 중 상당수는 조회수를 노리고 외모와 관련된 온갖 자극적인 키워드를 넣은 제목을 달고 있습니다. ‘여신’, ‘자체발광’ 등... 이런 기사들이 하루에도 수백, 수천 개씩 보도됩니다. 이는 각종 SNS에서 공유되고, 여성 아이돌들은 외모만으로도 가지각색의 이유로 수많은 악플과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하죠. 실제로 일부 아이돌들은 연관검색어로 외모에 대한 평가를 내포한 특정 키워드가 함께 검색되기도 했습니다. 이것이 또다시 기사화되어 보도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자정적 목소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풍경입니다.

 

연예계와 미디어가 만들어 낸 이 ‘아이돌의 몸’은 당사자 스스로에게도, 결국 아이돌 산업의 주 수요층인 청소년들에게도, 여성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 미디어에서부터 자성하는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보도의 영향력을 생각하면서 보다 나은 환경을 위해 개선의 노력을 보이는 것, 이것이 아이돌 산업이 보다 건강해지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습니다.

3672788535_Nize1qnm_0ff4eee91dda7998ae7a7603dda3fd202c8a5d1a.png

알권리와 국익, 그리고 진실추구

윤여진  |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

(중략) 무엇보다 대통령실이 첫 보도 이후 이를 바로잡을 시간이 14시간이나 있었지만 침묵했다는 점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사실과 다른 보도라면 정정 요청을 하고, 그 요청이 정당하면 정정하는 것이 정상적 과정입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정정보도 요청 과정을 생략한 채 국익을 해치는 왜곡보도라는 격한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언론은 권력비판을 권리이자 의무로 삼고 있지만, 사실이 아닌 내용을 의도적으로 보도하는 권리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언론은 문제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 사건이 '보도 가치'가 있는 것인지 고민해야 합니다. 이번에도 그 과정이 생략되지 않았다고 보여집니다.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정황'이었고, 보도 이후 곧바로 취재원에 사실확인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지금 대통령실과 여당은 문제를 덮는데 급급할 뿐 아니라 언론을 상대로 법적 대응을 하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672788535_tWQgaluh_62a27dee13005eb552a7712ef666075d07c87180.png
언론인권센터는 올해 언론보도로 인한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성범죄와 아동학대 보도를 중심으로 '댓글'의 철저한 관리 및 운영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연세대학교 공익법률지원센터와 함께 "댓글 2차피해 신고센터"를 운영합니다.
2. 메일제목에 [댓글피해]라고 말머리를 적은 뒤
3. 메일 내용에 피해 내용을 적어 제보해주세요!

접수된 내용을 검토 후, 필요한 경우 법률 상담 및 자문을 제공하고

법적 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와드립니다.

3672788535_Fegu4lXA_91e9fbc296333af3c23cdd361b32b64fdde37044.png
언론인권통신을 읽고 느낀 점이나 더 나누고 싶은 주제들이 있는데...
더 많은 이야기를 와글와글 복작복작 나누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이 코너에 짤막하게 적어 보내주세요!
그 주 또는 그 다음주 언론인권통신과 함께 발송됩니다.
3672788535_NVx5zWgU_b0ed8dfc0d5b6097f28e083bcf3670acfb175e22.png
구독자 분들이 보다 자유롭게 작성한 칼럼으로 자유롭게 운영되는 칼럼의 유토피아!
[칼럼토피아]로 제목을 붙여 칼럼 원고를 presswatch.korea@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보내주신 칼럼은 사무처의 의견나눔 후 그 주 또는 그 다음주 언론인권통신과 함께 발송됩니다.
3672788535_3vEcM9TA_c397ff61e8083af936d81ac1bd827f6b4e4ab3c3.png3672788535_0SId7ehY_483c88d201fd66b6d278ecef12c0abe275b760f5.png3672788535_nmW5MB07_4eb6caaabe3f90304d8c574e4095ee2cef9d3b61.png3672788535_sjSFJEzK_753335461b0fe21f316302becaaf8a8d324703f3.png3672788535_zx7kR1T8_a3b8746dd0c4974bc17af434ec4f7c37d4c15bbb.png3672788535_0iHAN9zL_0bb41698f8ccba0eb8fae6490ff0138eb64fedda.png
3672788535_tGpyaSsZ_f674be44de8927df43129d3b237d0893ca20ec23.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