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72호] 여기 우리가 있다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ZLIuEnhX_a7e37a1eb687ed0da6ab66e6f639b3ddd49e7330.png
3672788535_6sg4R0J1_7b9153e6425cc65f490bb9c37a0c97e28bb615e6.gif
3672788535_uTL7JC0n_7bcb9506587c71a95327caa2be9299de5ce37092.gif
3672788535_NAv6QyuK_2a05dc3af605d26433c95f8d516db669579b1293.gif

이번 주 위미픽으로는 경향신문의 기사 〈“여기, 축구를 좋아하는 ‘우리’가 있습니다”〉를 소개합니다.

 

이번 기사의 주인공 FC 아기오리는 ‘축구장 위 퀴어들의 존재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축구를 좋아하는 성 소수자들이 마음을 모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아직 11명이 다 차지 않아 정식 축구 경기는 불가능하지만 5명이 플레이하는 풋살 경기에는 참여할 수 있게 돼 성 소수자·여성 스포츠 대회 ‘퀴어여성게임즈’ 출전을 위해 한창 준비 중에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3,000여 개에 달할 정도로 남성 축구 동호회는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은 왜 ‘남성 성 소수자 축구 팀’을 따로 만든 걸까요? FC 아기오리의 한 멤버는 과거 대학교 축구 동아리에 들어갔을 때 성별 역할을 가르고 뒤풀이에서 여학생들을 품평하는 남성 중심적 문화가 팽배한 것을 보고 성 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을 안심하고 드러낼 수 없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2017년 퀴어여성게임즈 주최 측이 체육관 대관 신청을 했다가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민원이 들어온다’는 이유로 거절당해 소송까지 이어졌을 정도로 ‘성 소수자의 축구’ 자체가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퀴어들에게 폐쇄적인 축구계 문화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닌데요, 상대적으로 성 소수자의 인권이 발달했다고 하는 유럽에서도 축구계에서 ‘게이’라는 단어가 빈번하게 욕으로 사용되며 실제 커밍아웃한 축구 선수도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고 합니다.

 

하지만 FC 아기오리는 이에 굴하지 않고 ‘축구하는 퀴어들을 세상에 알리고 싶다’는 꿈을 향해 꾸준히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습니다. 순수한 축구에 대한 애정으로 똘똘 뭉친 멤버들은 이번 퀴어여성게임즈에서 우승해 팀의 이름과 우리의 존재를 알리겠다는 목표를 자신 있게 밝혔습니다. 성 소수자들이 즐겁게, 행복하게 축구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사회를 위해 오늘도 그라운드를 누비는 FC 아기오리를 응원합니다.


3672788535_XKf1lW6F_5382988bc6c566779a8eeb5c75c931544f392775.gif


오늘의 불편한 시선은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 전후 서울교통공사의 행태를 향해 있습니다.

 

사건 전후 서울교통공사의 대처가 미흡하고 허술했다는 비판은 이미 많았습니다. 유가족의 증언에 따르면 이미 직장 내에서 피해자와 가해자의 분리가 잘 되지 않은 상태였고, 동료 직원의 2차 가해 역시 있었다는 것입니다. 수사 결과 가해자가 피해자의 고발 건으로 직위 해제된 상태에서도 내부 전산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사실 역시 알려졌지요. 본래 직위해제 상태로도 접근은 가능하다고 하지만, 가해자가 직위해제된 이유가 무엇인지 감안한다면 너무나도 안이한, 피해자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방치였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사건 직후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영업사업소 소장들에게 ‘긴급 공지사항’을 내려보내기도 했는데, 사건의 책임을 면피하기에 급급한 대책 마련이 아니냐는 냉소 섞인 질타를 받기도 했습니다.

 

이 와중에 서울교통공사가 본사와 사업소 등에 마련한 분향소에 고인의 실명이 노출되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2차 가해 등을 고려하여 유가족의 동의 없이 공개되어서는 안 될 피해자의 정보가 그대로 노출된 겁니다. 당일 오후 해당 내용은 시정되었다고는 하나, 서울교통공사의 이 ‘부득이한 실무상 잘못’은 그 이상으로 문제적이라고 느껴집니다. 사건 전후의 대처를 감안하면 더더욱 서울교통공사의 ‘잘못’에 근본적인 쇄신이 필요해 보입니다.

 

3672788535_wCsy0vpG_93786f1304e93950ebf6cd1c1c435f0e44c5f83f.png
3672788535_pKvatAXq_f49df243c43d952e9b5fbfb9e06d6520353171c5.png

딜레마 상황에서 일관성 유지하기

박재영  |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여기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째, 기자가 촌지를 받아도 되나요? 둘째, 취재를 위해 위장취업을 해도 되는가요? 질문의 취지가 비슷하다며 둘 다 안 된다고 답할 사람이 많겠지만, 두 질문을 조금 다르게 판단해야 한다고 답할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이 둘은 전혀 다른 차원의 질문입니다. 첫 번재 질문에 대한 답은 이견 없이 쉽게 나올 수 있습니다. 촌지를 받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기자는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두 번째 질문의 답은 엇갈릴지 모릅니다. 위장취업을 극구 반대하는 기자도 있을 것이고 상황에 따라서는 해도 된다고 주장하는 기자도 있을 것입니다. (중략)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위 두 경우를 모두 윤리 문제라고 말하지만, 첫 번째 질문은 도덕의 문제고 두 번째 질문이 윤리의 문제입니다. 도덕은 바른생활처럼 옳고 그름의 문제이며 윤리는 선택의 문제입니다. 이 차이를 아는 것이 언론윤리의 출발점입니다. 언론윤리라고 하면, 당장 논쟁적 딜레마 상황을 떠올려야 합니다.
 
(중략) 언론윤리는 '바른생활'이 아닙니다. 어느 쪽이 좋으냐, 무엇이 옳으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느 쪽이든 일관적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 언론윤리의 핵심입니다. 일관성은 갑자기 생기지 않으며 누가 지시한다고 해서 바로 형성되지도 않습니다. 촌각을 다투는 일상의 취재 상황에서 기자가 진득이 고민해보고 윤리적 선택을 할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윤리 이슈를 스스로 고민하고 동료들과 토론하고 선택지를 찾아보는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3672788535_xjryKTBg_a2782ea38e4cd84382c38face8c3006bf72a1d3e.png
제94차 언론인권센터 이사회 개최

● 일시: 9월 29일 오후 5시
● 장소: 언론인권센터 사무실
● 주요 안건: 언론인권센터 20주년 기념 행사 및 기념 사업 상세

3672788535_WnBIoT4A_b878b4c6394bf98c8f7671679434e91f8d42f149.png
언론인권센터는 올해 언론보도로 인한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성범죄와 아동학대 보도를 중심으로 '댓글'의 철저한 관리 및 운영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연세대학교 공익법률지원센터와 함께 "댓글 2차피해 신고센터"를 운영합니다.
2. 메일제목에 [댓글피해]라고 말머리를 적은 뒤
3. 메일 내용에 피해 내용을 적어 제보해주세요!

접수된 내용을 검토 후, 필요한 경우 법률 상담 및 자문을 제공하고

법적 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을 도와드립니다.

3672788535_FzhHtvij_aef54bbacbf6c19d2df10535d1a195b5e011ad5c.png
언론인권통신을 읽고 느낀 점이나 더 나누고 싶은 주제들이 있는데...
더 많은 이야기를 와글와글 복작복작 나누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이 코너에 짤막하게 적어 보내주세요!
그 주 또는 그 다음주 언론인권통신과 함께 발송됩니다.
3672788535_RjrWY8i0_6b018cebe3be57010ae95d9b04f1389cb0f86218.png
구독자 분들이 보다 자유롭게 작성한 칼럼으로 자유롭게 운영되는 칼럼의 유토피아!
[칼럼토피아]로 제목을 붙여 칼럼 원고를 presswatch.korea@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보내주신 칼럼은 사무처의 의견나눔 후 그 주 또는 그 다음주 언론인권통신과 함께 발송됩니다.
3672788535_dWvUF4uh_13d276e4444d0ba01b58ba26b99b1c3da73ad1fd.png3672788535_qi0wp6cC_9b938664134dfc076ebc6c20f836742cc3c9e277.png3672788535_iXRa7Ymq_dc445aceeff03cf4a6db6fff782c9d551fe6b960.png3672788535_jxD2Oosz_b4153bbfdd39803d801d78624343c92ae97615c5.png3672788535_jvfnpPOg_75170f546c4d8848b6ac04afc1f2556e6a0e6474.png3672788535_T42Ow9UC_d3d17231c19573071b1268cf4031a58595f998e8.png
3672788535_2r9BmyYf_b47f0a199bb335951ed4f103b723f6020f2a04d2.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