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49호] 팩트체크를 체크하세요!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uXnGy2T7_6249e788ab89d61c8f840dcc558aa38284ec841f.png
3672788535_BAMY8vhn_ef3b58964ce36ed36148367aef794831de1ee800.gif
3672788535_SvH2Wnpg_e7a0b6f92867fabddd1e0674d972ff5882c520f7.gif

언론인권센터 정보공개운동본부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시민의 알 권리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지난 3월 31일 정보공개운동본부는 언론중재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대상으로 ‘2019~2022 3년 간 국회·국회의원·정당 등의 언론중재위원회 조정·중재 신청 현황’을 정보공개청구해 결과를 통보받았습니다. 같은 내용으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도 정보공개청구 예정입니다. 정보공개청구결과 분석한 내용은 추후에 언론인권센터 공식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3672788535_0tJ6HXua_8b9744aa8afa5297dae6a938b1a27bb91926594e.gif
3672788535_LQWihH8z_5ca53b65ee583fa4d23d6dc8d706419375e3fc0e.gif

최근 장애인 이동권 시위에 대해 각종 팩트체크 보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연합뉴스의 <‘팩트체크, 장애인 콜택시 타려고 2시간 기다리는 경우 많다?’>는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이 2시간 이상인 경우가 많다”는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의 말을 반박하는 팩트체크 기사입니다. 연합뉴스 기사는 장애인 콜택시 운영업체인 서울시설공단 측 자료를 활용해 “콜택시를 타는 데 2시간 이상 기다려야 할 때도 많다”는 김 의원의 발언이 사실이 아니라고 했는데요.

 

연합뉴스 기사를 팩트체크한 미디어오늘의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 32분? 연합뉴스 팩트체크가 지워버린 ‘현실’>를 공유합니다.

 

미디어오늘은 연합뉴스 기사에 대해 데이터에만 의존하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합니다. 기사에서는 “이용자가 장애인 콜택시를 기다리다가 포기한 경우는 데이터에 잡히지 않는다. 연합뉴스에서 인용한 서울시관리공단 데이터 자료에도 취소율에 대한 통계는 없었다. 장애인 콜택시를 신청했다가 취소하는 비율과 사유는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라고 말합니다.

 

홍윤희 장애인 협동조합 ‘무의’ 이사장은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번 콜을 취소하면 두 시간 있다가 올 수도 있다라는 불안감이 있다”며 “내가 원하는 시간에 콜택시를 부르는 게 아니라, 콜택시가 원하는 시간에 내가 맞춰야하는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기사는 당사자들의 사례를 통해 장애인 콜택시의 긴 대기시간, 순번제 시스템, 대체 이동수단의 부재 등 종합적인 장애인 이동권에 대해 말합니다. 가짜뉴스, 허위조작정보가 증가하며 동시에 ‘팩트체크’기사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정말 ‘팩트체크’인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3672788535_EIkUt06c_7651bea043bf4f32f9a250c55e27fb22e961f16e.gif

볕이 조금씩 따스해지고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면서 봄 분위기가 한껏 물오른 요즘입니다. 하지만 불안한 소식도 함께 꽃바람에 실려 오는군요. 오늘은 경향신문의 ‘꿀벌특집’,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를 골라봤습니다.


올해 1월 국내의 양봉농가들에게서 꿀벌들이 월동 중에 집단으로 사라져버리는 현상이 보고됐습니다. 특히 남부지방 양봉농가들의 피해는 막심하여 3월에 보고된 것으로만 약 78억 마리 이상의 벌들이 한꺼번에 사라져 버렸다고 하는데요. 봄꽃이 환하게 피어나는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 딱 지금 양봉농가들은 가장 바빠야 할 시기에 어느 때보다 조용하고 불안한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현상의 원인을 병해충과 말벌 증식, 이상기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원인 중 하나를 최근의 기후 변화로 꼽고 있습니다.최근 몇 년 동안 평년보다 추운 날도, 더운 날도 늘었습니다. 동시에 갑작스러운 눈이나 우박, 냉해도 잦아졌지요. 나날이 변덕스러워져 가는 날씨는 온도변화에 예민한 꿀벌들에게 치명적입니다. 꿀벌들은 미처 먹이를 찾지 못해서, 또는 너무 덥거나 추운 기온에 적응하지 못해서 봉군 단위로 약화되고, 집단으로 죽어버리고 말았던 것입니다.


2000년대 초부터 전세계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한 이 현상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꿀벌들은 꽃가루를 옮겨 소중한 식물들을 번식시키고 길러내어, 인류를 포함하여 지구의 수많은 생명체들의 식량을 책임지고 있는 자그마한 공로자들입니다. 꿀벌들이 사라져 조용한 봄의 꽃놀이가, 마냥 쾌적하고 따뜻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꿀벌들과 양봉농가의 어려움만이 아닌, 우리를 포함한 생태계 전체의 문제로서 한 번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3672788535_jmW6eIuA_ceaa140fc1f77c0080f58913f4128286ef1db91c.gif
최근 방송 내용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간접광고(PPL)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는데요. 하지만 여전히 과도한 간접광고로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결과, JTBC 예능프로그램 ‘아는형님’이 과도한 간접광고로 법정재재 ‘주의’를 받았습니다.

지난해 11월 20일, 27일 방송분에서 광고식품을 출연자들이 먹으며 맛을 표현한 장면이 그대로 방송을 탄 건데요. 사실 이렇게 과도한 PPL로 방송심의위원회로부터 권고 혹은 주의 등을 받는 경우는 그리 드물지 않습니다. 지난 2월에는 JTBC 예능프로그램 ‘세리머니클럽’이, 지난 1월에는 KBS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등이 받았는데요.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간접광고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시청자들을 위한 올바른 시청 환경을 만드는 것 또한 제작진들의 의무일 것입니다. 시청자들이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자연스럽게 간접광고를 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할 때입니다.
3672788535_LthiUkWT_6d492e5351a36504024e936172d998ba590ed103.png

서울신문의 우리사주조합은 왜 건설재벌에 투항했는가?

 

이광택|언론인권센터 이사장,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4월 5일 서울남부지법은 KBS 1TV가 [시사기획 창] “누가, 회장님 기사를 지웠나를 방송하기 몇 시간을 앞두고 호반건설이 낸 이 기획물의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모두 기각했다. 이에 따라 [시사기획 창] 367회는 이날 밤 10시 예정대로 방영되었다.

 

서울신문은 2019년 7월 5일부터 2019년 11월 25일까지 호반건설 대해부 시리즈로 경영권 편법 승계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인수합병 중도 포기 재단법인을 통한 사익편취 공공택지 벌떼 입찰 의혹 등의 주제로 65건의 기사를 게재했다. 그런데 2021년 1월 서울신문은 호반건설에 인수됐고,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이 그해 12월 서울신문 회장으로 취임했다.

 

그런데 취임 약 한 달 뒤인 지난 1월 16일 65건의 호반건설 대해부 기사 중 57건이 포털 뉴스 페이지와 서울신문 홈페이지에서 돌연 삭제되는 일이 발생했다. 기자들은 이에 반발해 기수별 규탄 성명 등을 냈고, 이는 곧바로 이슈가 됐다. 서울미디어홀딩스 회장을 겸한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과 박철희 호반건설 대표이사는 서울신문에서 기사가 삭제된 것은 서울신문 사장 등 6명의 자율적인 판단과 결정에 따른 것이고 호반건설 측이 지시하거나 관여한 사실이 전혀 없다며 삭제된 기사는 허위, 왜곡, 과장된 사실관계를 전제했다고 주장했다. (후략)

 
3672788535_D4XdOK52_08b8ad768812cad3383ffcafd95d41ee1df24e6a.png
'커뮤니티 베껴 쓰기' 기사를 없애려면

송승환ㅣ중앙일보 기자

요즘 취재 현장에서 기자를 향한 시민의 시선은 매우 따갑습니다. 2020년 방송뉴스 사회부 기자일 때 코로나19 유행으로 영업이 어려워진 식당 주인에게 인터뷰를 자주 요청했습니다. 대부분 협조해주셨지만 한 사장님은 식칼을 들고 달려 나와서 취재진을 쫓아냈습니다. 그 분은 "언론 너희들 때문에 우리가 더 죽게 생겼어"라고 소리를 질렀습니다.

지난해와 올해엔 신문 정치부에서 대선 취재를 했습니다. 이 기간에 만나는 사람들에게서 "정치 뉴스는 싸움을 부추기기만 해서 보기 싫다"는 말을 자주 들었습니다. 기사에 담지 못한 이야기를 해주면 "유권자가 꼭 알아야 하는 이런 이야기는 왜 기사에서 빼고 매일 모든 언론이 같은 제목에 같은 말만 인용하냐"고 의아해 합니다. 선거 운동을 취재하는 현장에서는 정당 지지자들이 "유튜브는 진실이고 기사는 거짓"이라며 기자를 향해 조롱과 멸시를 쏟아내는 게 일상입니다.  

동료 기자들 중에선 시민들의 이런 반응을 그저 비이성적인 태도로 치부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제목과 댓글만 보는 시민들의 비판은 무시하는 게 상책이란 식입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자극적인 뉴스 제목을 클릭해보고선 속았다는 생각에 화를 내는 경험을 기자들도 합니다. 이런 걸 떠올려보면 시민들의 이런 반응은 사실 정상적입니다. 시민이 이런 반응을 보일 정도라면 언론이 얼마나 잘못했는지 생각해보는 게 상식일 겁니다. (후략)

3672788535_HzWSQZtL_cbdbb796d85423c9eed38a380870ed06d9d57667.png
3672788535_Pw7gTloa_13ccf5633f03f12955c52b57612f5635e20d8294.png


언론인권센터 상근활동가 채용 공고

 

사단법인 언론인권센터와 함께 할 활동가를 공개 채용합니다.

 

사단법인 언론인권센터는 인권이 존중받는 미디어 환경을 위해 미디어 피해자 법률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미디어이용자권익보호, 언론관계법 제‧개정 활동 등을 하는 비영리 시민언론단체입니다. 인권이 중시되는 미디어 환경 개선을 위해 활동할 역량 있는 여러분의 많은 지원을 기다립니다.

  
3672788535_lEATXazi_d4863e4fa781bea2c7401cd3347b85f5ea214630.png3672788535_eaZrT3I1_ebd5ed79b69be0dc3f42344c08616085ec81f6ce.png3672788535_iBcy9ueJ_8cd106ce16ad17c6d6a14fb74375c3079d856a67.png3672788535_nCkLwaYr_7ea533b931d420f9a169843a54938d5df00ab241.png3672788535_1WXtOwJl_5e8f215d9c3259e66d5f55938058cab2dd316a93.png3672788535_qxNVsmIY_ae633c30b29e6073d57203b25cc96842e1db13dc.png
3672788535_nD2ksq0b_61fcb227e1e397ceb48e67b73a98bcbc3677778c.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