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08호] 🌊 변화의 물결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vqwVGAyY_c83ec61293b6ee327ab1f29bf264cf52464a09b1.png

3672788535_XSHFzjA9_89bcfb32b17123f123a80fcf49ed6423f013b9af.gif

3672788535_SXaFKEqn_5edfcbbd1c11dba698f65b2ff81cef32ee8a2878.png

3672788535_e6WmzZy0_08064998a86dc93fd0e921fec60e98761c9a5ef9.png

학보사 미디어 인권 교육 제3강
 
지난 5월 31일, 제3기 언론인권센터 청년기자단 B팀(김소희, 성정민, 안가영 기자)이 기획한 
<학보사 미디어 인권교육> 세 번째 강의가 진행됐습니다. 

이번 강의는 언론인권센터 모니터링단 팀장으로 활동 중인 황현정 박사가 '디지털 격차와 정보소외'를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강의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개념 설명을 시작으로, 우리는 왜 정보소외계층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언론은 정보소외계층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개선점에 대해 논의했는데요. 황현정 박사는 정보소외계층이 겪는 현실적 고충에 대한 언론의 탐사보도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보도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언론사로서 정보소외를 완화시킬 수 있는 기업 활동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고 언급했습니다. 

수강생들은 청년 소외계층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대학 내 정보소외가 발생하지 않게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언론이 정보소외계층에 꾸준히 관심을 갖고 인터렉티브 기사 등 기사 형식의 변화를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끝으로 황현정 박사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개인의 관심'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강의를 마쳤습니다. 

다음 <학보사 미디어 인권 교육>은 6월 21일, 언론인권센터 윤여진 상임이사의 강의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3672788535_j6kVZpsr_c38df8564033a6d154ef6adc663fdcbb1ece0a76.gif

3672788535_jkST15FW_7b5fc88c15b86aff5dee6456e70c4b99bc699b5d.gif

지난주 위미픽에서 기후위기 시대 노동환경 변화에 관한 경향신문의 기사를 소개해드렸었는데요. 오늘은 산재 인정 기사 2편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한겨레의 <‘폐암 사망’ 급식노동자 첫 산재 인정...“12년간 튀김·볶음”>기사를 소개합니다. 2018년 폐암으로 사망한 조리실무사에 대해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의 업무상 질병 심의위원회가 업무상 질병을 인정했습니다. 업무상 질병 심의위원회는 “12년간 조리실무사로 근무하면서 폐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고온의 튀김, 볶음·구이 요리에서 발생하는 조리흄에 낮지 않은 수준으로 노출됐다”라며 질병 인정 이슈를 설명했습니다. 백혈병 조리실무사들은 2016년부터 환풍기와 공조기의 교체를 요구했으나 학교 쪽에선 일부 점검과 수리만 했다고 합니다. 

다른 산재인정 기사 SBS의 <[취재파일] 3년이 지났고 죽은 이는 말이 없다>를 공유합니다. 백혈병으로 사망한 항공승무원 A씨에 대해 ‘우주(전리)방사선’ 노출로 인한 산업 재해가 3년 만에 인정됐습니다. A씨는 국내에서 비행 중 우주(전리) 방사선 노출을 주요 발병 원인으로 특정해 산재를 신청한 국내 첫 사례였다고 합니다. 근로복지공단의 산업재해 판정은 최초 신청으로부터 약 3년, A씨가 숨진 뒤 1년 후에 일어났습니다. 2018년 언론보도를 통해 A씨의 사연이 알려진 이후 학계, 노동계, 의료계, 국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관심과 노력이 이어졌으나 산재 승인과 제도 변화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요. 우리 사회는 누군가가 희생된 후 생긴 법, 제도가 참 많은 것 같습니다. 비극과 죽음으로 그동안 조명 받지 못한 곳들이 알려지게 되는 것 같아 마음이 좋지 않습니다. 더 큰 비극과 씁쓸한 죽음이 없도록 우리 사회와 제도가 더 빠르게 변해야 할 때입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3672788535_q6NgMpn9_336f8c07f73f7808ddc5435229f7fa53092bbbba.gif

'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국회 국민동의청원이 6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경항신문 <동아제약 성차별면접 피해자 '차별금지법 제정 청원' 쏘아올렸다>를 통해 이번 청원이 동아제약 성차별 면접 피해자 A씨와 차별금지법제정연대가 함께 올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요. A씨는 국회가 사회적 합의 부재를 이유로 포괄적 차별금지법 입법을 미루는 것은 직무유기에 해당한다고 지적하며 “차별금지법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국회가 국민의 인식을 따라오지 않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한겨레 <한자리 모인 역대 차별금지법 발의 의원들 "21대 국회는 법 제정하라">는 역대 국회에서 차별금지법을 발의했던 전·현직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법 제정을 촉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는데요. 이에 참여한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국회가 차별금지법을 외면한 이유는 300명 의원 대부분이 양심을 저버렸기 때문이다. 차별에 고통받는 시민의 삶보다 자기가 속한 진영의 정치적 이익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국민동의청원은 청원 등록 후 30일 이내에 10만 명의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에 회부되는데요. 벌써 국민청원이 6만 명을 넘어선 만큼 21대 국회에서는 이에 대한 답을 보여야 할 것입니다. 

3672788535_3AhB4uFi_6320da1882d87e671177452dee3ace2687e08757.png

알고리즘 공개로 포털 저널리즘이 나아질 수 있을까

김동원 |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협력실장

3672788535_OX3yl42z_251c4da0863c66b4344c43323209987a86d7064f.PNG

지난 4월 29일 전국언론노동조합에서는 서울시장 보궐선거 기간 중 네이버를 통해 이용자가 가장 많이 본 선거 관련 뉴스를 분석하여 결과를 공개했다. 50만회가 넘는 조회수 1위 기사는 중앙일보의 <동포는 민주당 찍는다?···오세훈 발언에 거세진 투표권 논란>이었다자칫 중국동포에 대한 선입견을 심고 차별을 조장할 수 있는 기사를 이용자가 많이 보았다는 사실은 많이 보는 기사가 좋은 기사라는 포털 저널리즘의 일면을 보여준다상위 20위권 기사 중에는 시장후보 정책 분석이나 선거 쟁점을 제시한 기사는 한 건도 없었다공개된 분석 결과를 보면 3월 둘째 주와 셋째 주까지는 한국일보나 경향신문의 기획기사가 주목을 받았지만 야권 단일후보 선출일공식선거 시작일사전선거일 등이 지나며 이용자 조회수가 높아질수록 기획심층기사는 사라졌다.

네이버와 다음 포털 뉴스서비스의 공정성은 늘 선거와 같은 정치적 이벤트 국면에서 문제가 되었다최근 더불어민주당이 포털 뉴스서비스를 없애고 기사 검색만을 제공하는 방안, ‘공영포털’ 도입 방안포털 뉴스추천 알고리즘 제출을 의무화하는 법안 등 포털 규제안을 언론개혁 과제로 꼽은 것도 그리 생경한 풍경은 아니다포털 뉴스서비스에 대한 정치적 논란과 파편적인 대안의 반복은 다시 질문을 던지게 한다한국사회 저널리즘의 추락은 정말 포털에서 비롯된 것인가뉴스추천 알고리즘을 개선하면 시민들은 지금보다 더 나은 뉴스를 접할 수 있을까? (중략) 
3672788535_baXru3Yg_58f7295283109cfeb9e28b69f3e0fb4316ef79f0.png
3672788535_JnvqGA2h_9ef97e4fb6be304576e5891a400e000c56f06378.png

3672788535_7Tf69sme_31250ea7c54e0a24ef6136f93b69d0da1633a755.png

미디어인권 스터디
○ 2021년 6월 4일 (금오후 1시
 언론인권센터

제210차 미디어피해구조본부 실행위원회
○ 2021년 6월 7일 (월오후 12시
 언론인권센터
3672788535_OSZzPFmp_5ac080447697c33a0c4bde40ba71ae78b64ad749.png3672788535_LSsj0Hn4_1c5a1e26d8dc782d7c3407cf5ed467b2bafee96e.png3672788535_nBbmYCja_2ca0073d941be6326cbb1ab51d7fd09d1fdcd0ca.png3672788535_mEP17KIe_f6163838c43deade5b80fcca695d299abc7e605f.png3672788535_j4nVGRh6_c814fefed5d3b7b214f31e3e6387976e2fa42c0e.png3672788535_QTU2RbDE_bc874c2c1bd748c352a476ae760018a25423b244.png3672788535_qzSZ9QVU_555394008e066715250189f27a36065f16e95fc3.png

3672788535_kyiuFOQ4_ba92da57f34744578db8f52522d0e6c9efa75299.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