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06호] 언론의 기억법: 언론이 기억하는 대중의 요구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G1dK8epW_b998957863da23d2503631ed43ce3b076293d667.png

3672788535_0TzepxH2_472adf4f356d50bd04b099da7fea8c91bcf6ac3f.gif

3672788535_oteTWEYF_cb110ac1335639438e9e8485d1f059f347f4414a.png

3672788535_BcVWlULX_c53ebd66e6e5b9b75d9abb629fabed83b459f4cb.jpg

학보사 미디어 인권 교육 제1강
 
지난 5월 17일, 제3기 언론인권센터 청년기자단 B팀(김소희, 성정민, 안가영 기자)이 기획한 <학보사 미디어 인권교육>이 시작됐습니다. 청년기자단은 이번 교육을 통해 학보사 기자들이 언론윤리, 미디어 인권에 대해 고민하고 논의 할 수 있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첫 강의는 2011~2014년까지 언론인권센터 대학생 모니터단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경향신문 김원진 기자 ‘언론, 혐오’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김원진 기자는 기사 작성 경험을 공유하고 언론의 표현, 범죄자 신상 공개, 젠더 보도 등 수강생들에게 다양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혐오 표현 보도, 노동 보도, 젠더 보도 등에서 나타나는 표현에 대해 항상 고민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수강생들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학보사 기자로서의 고민을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김원진 기자는 기사를 작성할 때 관습적으로 혹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직관적인 단어들에 대해 고민이 필요함을 이야기했습니다. ‘깜깜이’ 등 혐오를 담고 있는 단어들의 사용을 지양하고 대체 단어를 고민해 자신만의 표현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혐오 표현을 쓰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기자의 글쓰기 능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상의 변화에 따라 언론사도 흐름에 맞는 변화, 발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며 강의를 마무리하였습니다. 

다음 <학보사 미디어 인권 교육>은 ‘언론, 자율규제’를 주제로 5월 24일에 열릴 예정입니다. 

3672788535_rVt91EjJ_8c28bd946c9562959ecc5700e4f16919ab238cf6.gif

3672788535_ckly4QVm_180b328434c923599bd8289309024e8238566d13.gif

한겨레가 창간 33주년을 맞아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저널리즘 ‘33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그중 하나가 성차별·성범죄 보도 악습을 벗어나기 위한 젠더 보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었다고 하는데요. 한겨레의 젠더 보도 가이드라인 <성별 고정관념 강화하는 표현, 쓰지 않겠습니다>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겨레는 젠더 보도 가이드라인에 대해 성차별적인 사회 인식을 그대로 전달하는 데서 벗어나 성평등한 사회로의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성폭력 보도에서는 ‘피해자 관점’을 분명히 해 2차 피해를 예방하겠다는 ‘다짐’을 담았다고 밝혔는데요. 가이드라인은 불변의 기준이 아니며 앞으로의 변화를 담아 진화하는 기준을 내놓을 것이라고 합니다. 시대의 변화와 발전에 맞춰 언론도 변화하고 있는데요.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에 그치지 않고 실천으로 나아가길 바랍니다. 한겨레 소통젠더데스크 이정연 기자의 <[젠더 프리즘] 가이드라인은 참 많다>기사도 함께 공유합니다.

3672788535_Z2xWdjz4_50c2ac73456bf943e42ae4ac53422711b3530022.gif

음성 소셜미디어로 올 초 큰 인기를 얻었던 '클럽하우스' 아직 이용하고 계시나요? 유명 벤처 기업 대표와 연예인들도 이 앱을 사용한다고 알려지면서 큰 인기를 얻었는데요. 하지만 청각장애인을 배제하는 '음성'위주의 시스템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도 했습니다. 프란이 제작한 <농인 유튜버 '해랑'이 직접 확인한 모바일 앱 장애인 접근권>을 공유합니다. 영상에서는 농인 유튜버 '해랑'님이 직접 여러 앱을 이용해보고 '장애인 접근권'을 점검해보는 데요. 

3672788535_xsEJyuFt_99a9c1b466fc77d3a93bb45ba5ad37e3147e6b04.png

클럽하우스의 경우 아예 '농인'이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오직 소리로만 소통할 수 있으며 자막, 화상 서비스 등의 시각 정보는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클럽하우스 외에도 게임 앱 '카트라이더 러쉬', OTT 플랫폼 '웨이브'에 대한 평가도 이어지는데요. 영상을 마무리하며 해랑 님은 '장애를 차별하지 않고 그냥 그대로 두는 것 그대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사회가 중요하다'고 말하는데요. '극복'보다 모든 사람이 '평등'해질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끝으로 제3기 언론인권센터 청년기자단의 <실시간 음성대화 기술, 청각장애인과 상생하기>기사도 함께 공유합니다. 

3672788535_FaQJ5n0D_cb4cabb9d45e6b24e8216e4552812b1ab92b7544.png

인도적 체류자를 아시나요?

제3기 청년기자단 안가영 기자

지난 3월, 시민단체 난민인권센터가 분석한 역대 난민 신청 현황에 따르면 2020년 한국의 난민 인정률은 0.4%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습니다. 같은 시기 유럽연합의 평균 난민 인정률 32%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난민 인정률은 80분의 1에 불과했습니다. 난민 수용과 관련하여 국가의 소극적 태도는 곧 난민에 관한 국민의 인지도와도 연관됩니다.​

외국인 노동자면 다 난민?
​인도적 체류란 난민법에서 규정한 5가지 사유에 해당하는 난민은 아니지만, 고문이나 전쟁 등 기타 사유로 인해 여전히 본국으로 돌아갈 수 없는 자들을 보충으로 보호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그들은 산업재해 청구 및 치료 중인 사람과 그 가족 및 난민신청자 등 국내 체류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자들에게 체류를 승인할 때 부여하는 ‘G-1 비자’를 받게 됩니다. 2019년 이민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난민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적 체류자 및 난민인정자에 대해 들은 경험이 있는 비율은 표본의 50% 정도에 머물렀고, 이들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해당 지표들은 한국 사회에서 인도적 체류자에 관한 주관적, 객관적 인지도가 전반적으로 낮음을 암시합니다. (중략)

3672788535_DfnrbGBW_91431ceadec137be8a26189c2d1f2c23121c19e4.png

언론의 기억법: 언론이 기억하는 대중의 요구 

김채윤|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인권교육부 전문위원

기자는 어떻게 사건을 선택할까.
 
○○○에 올라온 글 보셨죠?”
 
일을 하다 보면 기자들로부터 종종 연락을 받는다최근 발생한 이슈와 관련하여 의견을 구하는 그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문득 이게 정말 취재하는 것인가?라는 의문이 생기곤 한다실제 다수의 인터뷰 요청은 인터넷에 ○○이란 글이 올라왔는데 해명하라라는 요구가 많은데그 과정에서 기자 스스로 그 글의 문제 제기의 타당성발언의 맥락과 배경 등에 대한 일말의 고민도 없는 것이 느껴지기 때문이다사건의 본질을 바라보기도 전에 기자들은 오로지 그 의견에 대한 답변을 맹목적으로 강요하는 형식에 그치고 만다이것이 진짜 취재인가왜 언론은 스스로 사유하며 취재하기보다 대중의 욕구에만 집착할까?
 
최근 까계정이 논란이 되고 있다까계정이란 주로 사회적으로 공분을 일으키는 사건이 발생할 때 자주 등장한다이들은 익명으로 나타나 소위 정의구현이란 명목하에 관련자들의 신상을 공개하고사건의 내용이 사라지지 않도록 온라인상에 박제한다그리하여 까계정은 처벌되기 어려운 비도덕적 행위를 한 나쁜 사람에게 신상공개를 통한 수치심 주기 처벌을 내림으로써 대중에게 청량감을 선사하는 역할을 한다문제는 정의구현이라는 이름으로 까계정이 운영되는 형태이다사건 당사자의 신상 공개는 물론이고 그들의 가족과 지인의 개인적인 삶이 낱낱이 까발려진다심지어 인터넷에 무심코 남긴 흔적들 –대형 포털 질문 내용음식점 후기 등–까지 모두 찾아내 공개한다사건에 대한 대중의 관음증은 폭로된 그들의 사생활을 쫓아가며 환호한다언론은 자연스럽게 이것을 쫓아가며 자극적인 타이틀과 이슈 몰이에 올라타 기사를 찍어낸다. (중략)

3672788535_2gDXzjNe_0bf7ffb92c4ad5ad59bed7139845925f74f6f19e.png

미디어와 인권 논평 1화: 
취재 없는 추측성 기사 故 손정민 씨 사건 해결 어렵게 만든다

이번 영상에서는 지난 10일 발행했던 논평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
💙 언론인권센터 공식 트위터 계정이 개설되었습니다! 
트위터에서 언론인권센터의 다양한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
3672788535_9ciKW2gO_3e6c13b1f009857f9746480cf77e119159ac3057.png

3672788535_rc9pDBZt_b47c33ad1dda924b390da729df8afa25069db08f.png

미디어피해구조본부 회의
○ 2021년 5월 24일 (월오후 12시
 언론인권센터

미디어이용자권익본부 모니터링단 회의
○ 2021년 5월 24일 (월오후 2시
 언론인권센터
3672788535_9ciKW2gO_3e6c13b1f009857f9746480cf77e119159ac3057.png3672788535_DY7wXgix_9855ff57237a3dbc3cbf1e7e64b4d040f1d3b787.png3672788535_HvsGQT8W_67d1395801e442e603537e2b354a824515995230.png3672788535_LnTiNgk2_c13058252c0eead0f1c1ab8907e4484e0c5de7ac.png3672788535_Z4Br0L3x_be6b90a5c0784dc3a0e9b4738e2118bbdfb9b18d.png3672788535_4ILc7H0m_bb99069b0c75fb1fa310b488f2fe9eeaa8748726.png3672788535_41JCyoe9_bdb5e4c74535f1c601034abf2c1e95e1f16d99ce.png

3672788535_xi1gU9Zn_97823b60ebb896aa624f8d222a2ea3568335fb42.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