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900호] 청년 세대의 목소리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W4GYDlMw_f3f5fe9307287d9504499f88ac2fd6ceffb0d5a3.png

3672788535_eAdWc8Nq_0e67ba1f5dcdc856aacafde3ce574c6a8a688da3.gif

3672788535_SFj2fNZR_913c1c71b59975e3847ba3008a5c5009831c5ccf.gif

3672788535_nPbBYA7m_d23c7cca800d8903b841f4997f82d7012bebf0dc.gif

요즘 한국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중 하나는 주거 문제인 듯합니다. 청년 주거는 저의 일이기도 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일보 이혜미 기자의 <착취도시, 서울>(글항아리)이라는 책을 추천받았는데요. 이 책은 2019년 이혜미 기자의 쪽방촌 취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혜미 기자의 기획기사 <지옥고 아래 쪽방>과 <대학가 新쪽방촌> 을 공유합니다. 빈곤계층과, 축적한 자산이 없는 청년 세대의 처지를 이용해 돈을 버는 ‘빈곤 비즈니스’에 대해 파헤친 기사입니다. 책에는 기사에 담지 못한 취재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니 기사와 함께 책도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저자 역시 지방에서 올라와 기숙사, 하숙, 반지하 원룸, LH 매입임대주택, 산동네 분리형 원룸, LH 대학생 전세자금대출 등 불안한 주거 역사를 거쳐 왔다고 합니다. 책과 기사를 통해 우리 사회의 주거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았으면 합니다. 

3672788535_Pw6lBr2q_99ce971c505e8994a6c5a56e7ec13ac009fa42c6.png

이와 함께 시사인의 <“집 안에 사람 있어요” 청년 주거 문제 당사자들이 바라본 LH 본 사태> 영상을 공유합니다. 청년은 말합니다 “‘영끌’ 이런 신조어 만드는 게 아니라 진짜 청년들이 좀 어떻게 살고 있는지 들여다보는 그런 미디어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3672788535_18RGZCNr_c67df0e7b3d67acb68c8c9905f35718eb669bb7f.gif

최근 2030세대를 중심으로 '사무직 노조' 결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시작을 알린 건 LG전자였는데요. 성과급 논란이 일어나자 익명 게시판을 통해 불만이 이어졌고 불과 2주 뒤, LG전자 최초 사무직 노조가 출범했습니다. 이에 대한 KBS의 <블라인드로 노조 결성·성과급 개선…커지는 MZ 세대 목소리> 보도를 공유합니다. 업계 최초 비대면 노조 결성, 익명 게시판 활용한 가입 희망자 모집 등 시작부터 기존 노조와는 다른 방식이었는데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상위 노조가 없는 것도 특징으로 보았습니다.

3672788535_gwbGFD7W_08bf237e82d4f20bd25ae65de431d3c177b0aba3.png

국민일보의 <‘노조, 생산직 전유물 아냐’ MZ세대, 사무직 노조 바람>에서는 기존 노조와 다른 MZ세대 노조의 특징을 알 수 있었는데요. 정년연장, 성과급 등 생존에 집중했던 기존 노조와 달리 공정하고 투명한 보상 기준 마련, 중장기 동력을 만들 수 있는 복리후생 및 조직문화 개선 등에 지향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한겨레 세대>에서는 이들의 노조 결성에 사회적 지지를 끌어내려면 '대기업 중심'의 기업별 활동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언급했는데요. 이에 대해 이주희 이화여대 교수는 “이들 사무직 노조가 생산직 노조와 분리되더라도 정규직 중심의 기업별 활동에만 매몰되기보다 비정규직 등 모든 일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이슈를 놓고 공동행동을 할 때 시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합니다. 새로운 세대의 사회 진출로 노동운동에도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는데요. 세대와 직종의 구분 없이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게 논의되고 존중받을 수 있는 노동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해봅니다. 

3672788535_FT5YDkQN_8f74dbccb5e279f23fac5218ef1feb29991c8cfb.png

언론사 조직 내부의 성찰이 필요한 때

이종임 |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

 지난 2018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미투 운동(#Metoo)은 국내 언론 보도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중의 미디어 읽기는 차별적이고 인권침해적인 보도 방식에 대한 변화를 이끌어냈기 때문이다당시 성폭력 피해 여성이 직접 스튜디오에 출연하거나 인터뷰에 응하면서성폭력 상황의 심각성을 자신의 목소리로 알리기도 했다여성들이 불평등한 사회구조 속에서 자신의 부당한 경험을 고발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없었다는 점을 우리 모두 인지하는 계기가 되었고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언론사에 제보를 하거나 SNS에 자신의 고통을 이야기함으로써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는 주체적 대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하지만 언론은 그동안 인지하지 못했던 보도 행태를 갑작스럽게 바꾸기 쉽지 않았다피해자 인터뷰 질문 내용뉴스 보도에 사용된 언어표현 등에서 젠더 차별적 표현이 적지 않았다이후 국내 언론사들은 내부적 성찰과 변화를 모색했고성평등센터 설치 등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KBS는 2018년 11사장 직속 독립기구로 성평등센터를 개소하였고, 2019년 4월에는 성폭력 피해자 보호 방안 등이 담긴 성평등 기본규정을 마련하였다. MBC 노사는 2018년 2월 단체협약 체결 때 성평등과 모성보호와 관련한 조항을 만들어 육아휴직 기간을 1년에서 1년 6개월로 연장했고, SBS는 노조 내 여성위원회를 성평등위원회로 바꿔 인사·채용·출산육아·성폭력 등으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서울신문은 노사 합의로 성폭력 사건에 대처하는 성평등위원회를 도입한 데 이어 남녀 혐오나 담론 생산을 위한 젠더연구소를 2019년 6월 설치했다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는 전국언론노동조합 성평등위원회다. 2020년 1월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세계신문협회(WAN) 이니셔티브인 위민인뉴스(WIN:Women In News)의 미디어를 위한 젠더 균형 가이드의 번역본과 해제를 묶은 <미디어를 위한 젠더균형가이드>를 발간했다. <젠더 균형가이드>에는 조직문화와 다양한 취재원기자의 비판적 시각이 모두 반영되는 것이 뉴스이며이러한 변화 없이는 대중의 인정을 받기 어렵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언론사들의 이러한 변화는 언론사 스스로 내부 조직문화를 성찰하고조직 구성원의 노동환경에서 성인지감수성이나 젠더에 대한 열린 시각을 체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물론 각 언론사 내부에 설치된 성평등위원회의 역할이 원활하게 조직문화와 결합되고 있는지형식적인 역할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도 필요하다이러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지만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은 언론 보도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폭력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이라 명명하거나 N번방 사건 보도에서의 자극적 표현이 사용된 언론 보도도 적지 않았다또한 여성 연예인 관련 기사에서는 나이몸무게키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젠더 차별적이고 고정관념에 기반한 기사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정치에서 문화면까지 모든 분야에서는 여성의 신체를 구체적으로 표기한 내용이 전시되고 있는 실정이다결국 이러한 언론 보도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언론사 조직 내부의 자정적 노력이 함께 수반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대전 MBC 아나운서의 성차별 채용과 같이 언론사 조직 내부의 문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각 언론사 내부의 뉴스보도 가이드라인의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지난 2019년 4월 4일 신문의 날 행사에 참석한 국내 신문사의 간부들 중 여성 간부는 한 명도 없었다는 점이 국내 언론사의 현재적 상황을 보여준다해외 외신기자가 청와대 영문 트윗 계정을 리트윗하면서 이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또한 이러한 국내 언론사 조직 내의 젠더 비율은 뉴스의 바로미터인 시청률과 구독률이 떨어지는 원인을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환경 탓만 할 수는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언론사 조직 내부의 끊임없는 점검과 기자 개개인의 의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SNS를 통해 미투 운동이 일어났던 것처럼국내 언론사들은 대중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될 것이다

3672788535_mGtuxlVa_5f47bbfdd282ee12e621725b1e038584e87301b7.png

변희수 전 하사의 죽음, 언론의 책임을 묻다

제3기 청년기자단 김수진 기자

맹위를 떨치던 추위가 어느새 조용히 꺾이고 겨우내 앙상했던 나뭇가지에는 파릇한 싹이 움텄습니다. 속일 수 없는 계절의 변화입니다. 그러나 3월의 시작과 함께 찾아온 안타까운 소식은 시간이 지나고 계절이 바뀌어도 쉽게 변하지 않는 것이 있음을 고민케 합니다. 

그 소식은 바로 작년 2월, 성전환수술 이후 강제 전역 처분을 받고 법정 소송을 이어가던 변희수 전 육군 하사의 사망 소식입니다. 여성으로서의 성적 정체성을 찾은 뒤에도 군 복무를 이어가고자 했던 변 전 하사는 전역 처분 이후 이에 불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군을 비롯한 우리 사회에 많은 논쟁거리를 던졌습니다.

변 전 하사는 2017년 육군 부사관으로 임관한 뒤 2019년 11월 타이에서 성전환 수술을 했습니다. 그는 군에서 계속 복무하기를 희망했으나 육군은 심신장애 3급 판정을 내리고 전역심사위원회에 회부해 지난해 1월 강제 전역을 결정했습니다. 변 전 하사는 전역심사를 이틀 앞둔 1월 20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부당한 전역심사 중지를 요청하는 긴급 구제 신청을 제기했습니다. 인권위는 다음날 긴급구제 결정을 내리고 육군본부에 전역 심사위원회 개최를 3개월 연기할 것을 권고했으나, 군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육군은 예정대로 전역심사위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라며 전역을 결정했습니다. 결국 변 전 하사는 같은 달 23일 새벽 0시부터 민간인이 됐고 성전환 수술 군인의 군 복무라는 소망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3672788535_LSBMjhxK_9a0da1885cc4caee89556bd5ace56b0871fd668a.png

🧐🤔왜 여기서 일해요⁉ 사원들에게 묻는 입사 동기
언론인권센터에서 활동하는 두 명의 활동가에게 묻는 센터 활동 이야기!

3672788535_fmQ1dujC_30a3cf3722988ff0518d0692df0ba739295aeb62.png

유튜브 콘텐츠 기획 회의
○ 2021년 4월 9일 (금오전 10시
 언론인권센터
3672788535_KMnzedhS_e79d8f7f38146dcf6177058193d11cc3ab00ea55.png3672788535_ZpcNiBHe_5225c3ee6267114b2002505369b2600926e73c45.png3672788535_yovFOSL9_782f5ada1b7715da72d16558a96d9a485b2cfb2f.png3672788535_fjNBpQXx_b238fb4291a7ffe893e63baecb477626e4f8c8e7.png3672788535_WKAuNkUp_c22ecd7f61a406c5486e55ac148c20565f2138a1.png3672788535_1Ywb82gP_aa22b008c853aeefad62ed9745d7dfd0de39ff2b.png

3672788535_ZdwDH94i_3d4ac5469002a3b70c235693093a4e58ee84ead2.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