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899호] 언론 보도만 보고 투표할 수 있을까?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OWhwH69z_cd3098ed836369c63888c9e8e87b27f3437b7cc7.png

3672788535_jfmUlH9e_98a3cdb75c08d92d3fab221b056a3cbebe615dde.gif

3672788535_sd0GuBlY_ee6ae11ddf73c31174f0536d4f3cbc04eb7e9ec2.gif

3672788535_vHSNw64y_996cd98b7fbffde89b22c555e98f7181e5b006a2.gif

4·7 재보궐선거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후보들의 공약들을 꼼꼼히 살펴보고 계시나요? 공약의 실현 가능성, 정책, 소수정당 후보들의 비전, 공약 등을 살펴보려고 했는데요. 생각보다 이러한 내용을 다루는 기사가 없어 답답했습니다. 소수정당 후보들의 인터뷰는 찾아보기가 어려웠고 거대 양당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은 나열되어 있을 뿐이었습니다. 

이번 보궐선거 보도를 분석한 미디어오늘의 <급감한 정책‧공약 선거보도, 검증은 더 줄었다> 기사에 따르면 3월 3주차 서울시장 후보자 정책·공약을 검증한 보도는 6건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정책·공약을 다룬 보도에서도 민생, 부동산 관련에만 집중되어 있어 후보자들의 다양한 분야의 정책·공약을 살펴보기 어렵다고 합니다. 후보자들의 말만 보이고 정책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오늘 공유하는 기사는 경향신문의 <박 ‘미래지향적’ 오 ‘현실중심’...재원 조달엔 ‘물음표’ [서울시장 공약 분석-부동산·교통·산업정책]>입니다. 나라살림연구소와 함께 두 후보의 공약을 분석한 신문인데요. 두 후보의 공약 실현 가능성, 정책 지향점 등을 분석했습니다. 함께 매일노동뉴스의 <[서울시장 보궐선거 공약 분석해보니] 박영선 “디지털·일자리” vs 오세훈 “부동산·건설”>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론의 선거 보도는 후보자들의 공보물과는 다른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3672788535_GBPA9tiY_5f07ca8e8162d232f7585cca95d334cc656859a5.gif

최근 SBS 드라마<조선구마사>가 '역사왜곡'의 문제로 결국 폐지되었는데요. 조선 전기를 배경으로 태종, 양녕대군, 충녕대군 등 역사 속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지나치게 각색한 캐릭터 설정과 대사들로 시청자들의 반감을 샀습니다. 또한 중국풍 소품들도 문제가 되었는데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쓴 이승한 칼럼니스트의 <'조선구마사'가 사라진 자리에 남은 질문들>을 공유합니다. 

필자는 "표현의 자유’라는 말로 <조선구마사>의 역사왜곡을 옹호할 생각은 전혀 없다. 전작에 이어 또 역사를 대하는 불성실한 태도를 보여준 박계옥 작가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우며, 오랜 세월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나 시대상에 대한 치밀한 고증 없이 작가가 쓰고 싶은 대로 쓰고는 ‘퓨전 사극’이나 ‘판타지 사극’이라는 핑계로 비판을 피해 갔던 역사가 있던 한국 드라마 업계도 이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준비 과정에서 시나리오를 검토할 시간적 여유가 있었을 제작진 중 아무도 문제가 된 대목을 걸러내지 못한 것 또한 문제적이다."라고 밝혔는데요. 또한 사태가 인종주의적 논란으로 이어지는 것에 우려를 표하며 온라인 커뮤니티 상의 무분별한 글을 기사로 출고하는 언론의 무책임한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저는 필자의 마지막 문단에 크게 공감했는데요. 마지막 문단 중 일부를 공유합니다. 

"제작진은 해야 할 검토를 안 했고, 여론은 해야 할 자제를 안 했고, 언론은 해야 할 지적을 안 했고, 방송사는 그간 해야 했던 숙제를 안 했던 탓에 대화가 아닌 힘과 자본의 논리가 답이라는 쓸쓸한 결과를 도출했다. 역사 속의 조선을 심각하게 왜곡한 <조선구마사>를 둘러싼 일련의 사태는, 이처럼 역설적이게도 오늘날의 한국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3672788535_WISo80pu_053ea3ef96d6f3e767fcfb6f357424eacf5ff0e4.png

거대 정당 공방 아닌 서민의 목소리 경청하는 선거 보도 시급하다

정의철 |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교수 
 
코로나19로 수면 위로 떠 오른 축적된 불평등에 대해 공부하면서, ‘프레카리아트(precariat)’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다요즘 새로운 연구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서 배우는 중이고고정된 정의는 없지만, ‘프레카리아트는 코로나19 전부터 축적되어 온 신자유주의와 자본의 무한 탐욕이라는 맥락 속에 사회보장 체계밖에 머물 수밖에 없는 불안정 노동자빈곤층장애인이주민홈리스 등 광범위한 약자·소수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프레카리아트는 생계를 위해 감염과 과로사고 위험에도 일해야 하고실직과 해고가 감염보다 더 큰 위기일 수 있으며고용/소득 불안정 속에 건강위기와 함께 생존 위기를 심각하게 겪는 계층이다이들은 불평등 담화의 위계에서도 가장 아래에 속해 있으며부동산일자리 등 사회적 담론에서도 거의 언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말할 역력도 없고’, ‘권리를 말할 권리도 없는’ 상태에 있다는 연구자들의 지적은 적절해 보인다더 큰 문제는 정치권에서도언론에서도 이들의 목소리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이다

거대 도시 두 곳에서 보궐선거가 한창이다다양한 정책과 주장이 공약이라는 형식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필요성/실현 가능성과 관계없이 당선을 위해 급조된 공약들이 많고경쟁적으로 숙고 없이 내놓다 보니 논리적이지도 현실적이지 않거나황당하기까지 한 경우도 적지 않다이동권은 물론정보와 정책에 대한 접근/이용에서 축적된 불평등을 겪어 온 장애인들을 위한 문화복지 공간을 대놓고 현수막까지 설치하며 반대하다가 장애 당사자들과 시민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서야 철회되는 사태도 벌어졌다서울시아니 대한민국의 인권 수준을 수십 년 전으로 보고 공약을 개발한 것 아닌지 모르겠다그 사이 대한민국의 인권과 공동체 의식은 조금씩 진전되어 왔는데이런 사태를 보니 퇴행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편의점에서 1시간 아르바이트하고무인 점포 운운한 건 상식적이지도 않고따뜻함도 없어 보이다고매한 지식을 바탕으로 뭔가 가르칠 것이 있었겠지만시민특히 서민들은 납득하기 어렵다가뜩이나 일자리 구하기 힘든 불안정 노동자 등 프레카리아트의 삶에 결정타를 가하겠다는 것인가정책적 비전과 의도와 무관하게 약자 입장에서 공감하는 자세와 다가감이 공약과 정책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선거와 관련해 언론의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그만큼 언론의 역할이 막중하고소중하기 때문이다정치나 사회문제에 대해 개입하기 힘든 서민의 입장에서는 언론을 통해 정치 등 세상을 이해할 수 있으니언론의 역할이 얼마나 소중한가그런 기조에서공약에 대한 예리한 분석과 비판보다 거대 양당 후보에게 동등한 비중을 두는 수평적 균형 보도만 하면 언론이 할 일을 다 한 것으로 착각하지 말기를 바란다선거는 다양한 계층들의 욕구가 분출하고정책으로 반영되는 교두보가 되기도 하지만사회적 약자·소수자를 포함한 프레카리아트의 목소리 부재가 재확인되는 장이기도 하다후보들이 당선을 위해 인기 영합 정책에 치중하더라도 언론은 코로나19에 더해위장전입과 탈세다주택 등 나와 내 가족만을 위한 탐욕과 반칙경쟁적 내로남불의 결과인 나날이 커지는 불평등과 박탈감으로 고통받는 프레카리아트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한다후보자들의 공약의 문제점을 비판하고소외된 계층의 목소리를 전하면서공론장을 주도해야 함에도 정치인들의 동선을 따라다니거나여론조사 등 흥미 위주 뉴스를 쏟아내며 무슨 내용으로 경쟁하는지가 아닌 누가 앞서는지에만 치중하는 경마식 보도가 횡행하고 있다언론이 관료수사기관사법부기업대학의 적폐와 위기를 부각하고 있지만필자의 눈에는 언론의 행태도 수십 년간 개선된 지점이 별로 보이지 않고지금 위기에 처해 있다우리 사회 다수를 차지하는 프레카리아트에 대한 일관된 무관심을 보면더욱 그러하다

프레임(frame)’은 어떤 사안에 대해 어떤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문제 정의와 대안 모색을 다르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언론의 영향력을 잘 설명하는 개념이다어떻게 프레이밍 하는지 못지않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무보도 프레임이다다양한 계층들의 욕구가 분출되는 상황에서 공론장 역할이 중요한 선거 국면에서 프레카리아트의 목소리는 여전히 주변화되어 있다코로나19로 모두가 똑같이 고통받는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팬데믹 이전부터 불평등과 차별을 겪어 오던 장애인불안정 노동자이주민성소수자 등 프레카리아트의 고통은 배가되어왔다돌봄과 지원단절로밀집·밀폐된 환경에서 생계를 위한 노동을 피할 수 없어서정체성이 다르다는 이유로이들은 감염병 위기 때 더 큰 불평등과 차별심지어 혐오로 고통받는다

이러한 프레카리아트의 삶에 대한 거대 정당들의 진지한 관심과 언론의 주목은 찾아보기 힘들다재난특히 감염병의 확산과 피해는 공평하게 전개되지 않으며불평등한 구조를 반영한다기계적인 균형성공정성의 잣대를 넘어 축적된 불평등과 차별로 둘러싸인 사회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시민이 원하지도 않는 속보/특종 경쟁에 쫓기면서 공부하지 않는 풍토에 대해 이해해 달라거나 현장을 모른다는 불평은 삼가기 바란다시민의 실망과 분노가 임계치에 다다르기 전 언론의 혁신 노력을 요청하며시민들의 적극적인 언론 감시와 개혁 노력에 대한 동참도 강조하고 싶다관성을 넘어 변화를익숙한 취재처/엘리트 중심을 넘어 프레카리아트와 서민의 이슈를 중심으로 의제화하고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언론의 성찰과 분골쇄신을 요청한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언론만이 할 수 있는 소중하고막중한 공익적 역할을 더욱 충실히 수행하고시민특히 서민의 사랑을 받는 언론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3672788535_GnvVIL1h_ea6bab18dd55a82590be1a786eaa0abceae14d87.png

제208차 미디어피해구조본부 실행위원회
○ 2021년 4월 5일 (월오후 12시
 온라인 회의

미디어인권교육팀 실행위원회
 2021년 4월 6일 (화오전 10시 30분
 언론인권센터

제3기 청년기자단 2차 기획 회의
 2021년 4월 6일 (화) 오후 7시
○ 언론인권센터
3672788535_w09Jl3GY_d5a1008e21dd167ecc82d46f50b24a96d1409fe7.png3672788535_RS9wMeAZ_ec63bbbfe99778783b1631ceab813fcb4db4da76.png3672788535_leVWbUOY_00ba5209f0e7ce405175fe04685ff06617eafa0b.png3672788535_c5RkAyev_180a77ebaed7aed4632f51c0715a3250c720553d.png3672788535_TCMo3jgf_91f2642734c60806802b20e9a408abc312bee5df.png3672788535_YnTgRt9z_ffd0b26f652cd1b9cec367cee5bb0cb67225558a.png

3672788535_Be6O3TzY_3e9fd6bd14d928994a9ed682d84244a91c993398.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