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dow4
언론인권통신

[언론인권통신 제876호] 변화의 시대를 사는 우리의 자세

작성자 정보

  • 언론인권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3672788535_BJaMIcLG_31a3f19bb2d6a30263f5b49f43a043344cf19a10.png

변화의 시대를 사는 우리의 자세 
2020.09.09.  
[1] N번방 미디어 2차피해 토론회
[2] 2020 청년 미디어인권교육
[3] <위클리 미디어픽> 청년 정치 할 수 있을까요?
[4] <언론인권칼럼> 언어의 줄다리기와 언어감수성 

3672788535_X4PlLH2i_7fad3d35a1f1db56b53aa0475d9cc801205cfbcb.png

3672788535_k98YsprI_84c6dadf6d7a74c95b7290e4dbe589d32c1fd982.png

2020 청년 미디어인권교육 제6
 
지난 9월 8일 화요일 온오프라인 인권의 온도를 주제로 <2020 청년 미디어인권교육여섯 번째 강의가 진행됐습니다이번 강의는 8월 25일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한 '수도권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두 차례 연기 된 후 온라인 실시(zoom) 강의 로 진행되었습니다이번 강의는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김채윤 전문위원이 강의자로 나섰습니다.
 
김채윤 연구위원은 "사이버(온라인공간에서 사람들은 더 이타적감정적잔인반사회적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강의를 시작했습니다먼저사이버(온라인공간이 갖는 특징을 설명했습니다사이버(온라인공간은 ①무제약성, ②빠른 전파성, ③비대면성, ④익명성의 특징을 갖으며 이는 절대자유로 이어집니다인터넷 이데올로기의 핵심인 절대자유는 고도의 상호작용능동적 참여·몰입을 가능하게 합니다온라인은 오프라인과 달리 현실이 주는 여러 단서와 표정보디랭귀지물리적 공간 등 미묘한 정보가 누락된 상태에서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이어 사이버(온라인공간에서 나타는 여러 효과(온라인 신디케이션 등)들을 설명했습니다사이버에서 영향을 받은 태도와 행동이 현실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버 이주라는 개념을 설명했습니다온라인상에서 나타나는 여러 효과들이 현실 문화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온라인이라는 또 다른 세상이 현실과 오버랩 되면서 현실세계의 새로운 규범을 창출 할 수 있다는 겁니다이어 온라인 속 대상화혐오와 차별 사례를 통해 대상화의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다음으로 현 시대의 이슈인 젠더와 역차별 문제를 어떻게 인권으로 바라볼 것인지 이야기 했습니다먼저 젠더개념을 인권적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젠더 개념은 위치성과 교차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차별적 사회구조 속 피해위치의 교차성을 인지해야합니다그러므로 젠더갈등이 아닌 성평등인권의 문제이며인권은 충돌의 개념이 아님을 설명했습니다마지막으로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실종된 상황에서의 감수성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며차별적 상황 속에서 문제를 인식하는 민감성을 가져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다음 강의는 미디어 인권을 주제로 9월 16일 온라인 실시간 강의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3672788535_lojG5mZ7_7443a5462815d1fec6b0260a1a5b40fadfd950c4.png

청년 정치 할 수 있을까요?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인사가 화제가 됐는데요지명직 최고위원에 24살 박성민 당 청년대변인을 지명했기 때문입니다박성민 최고위원이 지명 된 후 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이라는 이유로 여대생’ 으로 지칭한 보도가 쏟아졌는데요최연소 타이틀이 강조되자 일각에서 보여주기식 지명’, ‘어린 나이에 정치를 할 수 있겠냐’ 등의 반응이 있었습니다.

한국에서 청년 정치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논의 되어 왔습니다선거 때마다 각 당은 젊은 피를 수혈해 낡은 정치를 타파하겠다고 공언해왔는데요하지만 실제 정치판에서 청년 정치인을 보기란 하늘에 별따기입니다. 21대 국회는 20대 국회보다 훨씬 많은 수의 청년이 당선됐는데요총 13명입니다. 20대 국회에서는 단 4명이 청년이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24세 대학생이 여당의 최고위원이 된 일은 깜짝 놀랄 만한 일일 수밖에 없는데요표창원의 [토요판여의도 프로파일링 <깜짝 발탁은 이제 그만···문제는 ‘청년 정치 육성 시스템’>한겨레 기사를 소개합니다청년이 주도하는 세계정치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 역시 청년 정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표창원 전 국회의원은 현재 기존 정당이 중심이 되는 청년 정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날카롭게 비판하는데요청년 정치 기반이 마련되지 않아 청년들이 기득권 집합체의 하부로 들어가게 되는 구조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지적합니다현재 정당과 기득권 정치인들이 근본적인 변혁을 시도하지 않은 채 그 순간만 모면하려 인재 영입’ 이라는 수단을 사용하고그 과정에서 몇몇 개인 청년들이 소비되어 왔다는 겁니다.

박성민 최고위원은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최종면접에서 청년은 일회용이 아니다. (...) 청년을 선거행사 때만 찾으며 쓰고 버리는 정치권의 청년 소비 행태에 문제를 제기한다라는 논평을 발표했습니다지명 이후 포부를 이야기 하는 자리에서 여성과 청년문제 뿐만 아니라다른 현안에도 구애받지 않겠다고 밝혔는데요한 사람의 정치인으로 당에서 주목하지 않고사각지대에 놓인 미래 의제를 발굴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특히 미래 세대에 영향을 미칠 환경문제에 젊은 감각을 활용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깜짝 발탁이 아닌 청년이 주도하는 정치가 이제는 정말 실현 됐으면 좋겠습니다

3672788535_xkGo1VHz_ba60cf7845472b396919687c65b0dabcb7ec658d.png


언어의 줄다리기와 언어감수성 

김하정|언론인권센터 사무차장
 
 지난 일주일동안 내 머릿속을 흐르는 생각의 키워드는 언어였다주변에 일어났던 인상 깊은 에피소드가 언어로 귀결되었다최근 들었던 한 선생님의 강의안의 주제는 인권의 언어였는데그 내용이 매우 인상적이어서 강의를 개설해서라도 꼭 듣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지난주에는 언론인권센터에서 뉴스레터를 통해 질병관리본부가 시각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용어인 깜깜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발표한 소식을 전달했다뉴스레터를 준비하며 사무처 내부에서 질병관리본부 발표내용과 관련한 기사를 찾아보았는데이를 다룬 매체가 손꼽을 정도로 적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적잖이 놀랐다그리고 일주일이 지났다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여전히 많은 언론매체에서 깜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며 또 적잖이 놀랐다언어의 습관과 영향력에 대해 고민되는 시간이었다.

 이런 의식의 흐름 속에서 언어의 줄다리기’(신지영 저)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저자의 문제의식이 담긴 프롤로그를 몇 번이고 무릎을 칠 정도로 반복해 읽었다글의 요지는 언어 표현의 줄다리기는 사실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가 충돌하며 벌이는 심각한 이념의 줄다리기라는 것이다언어는 언어공동체가 가지고 있던 기존 사회의 가치와 질서를 담고 있는 관습의 총화이다그래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언어의 문제는 새로운 생각과 가치의 관점에서 보지 않는 한 문제의식을 갖기가 어렵고문제의식을 표현했을 때 거부감은 더 커진다.
 
 기존의 이데올로기 입장에서는 새로운 표현들에 대한 문제의식을 별 것도 아닌 것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관용어를 왜 혐오차별 용어로 보느냐.’는 식으로 대응한다하지만 생각이라는 것이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를 수 있듯이기존의 가치와 질서에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면 기존에 사용했던 표현들에 동의하지 못하게 된다.언어가 사회의 변화를 담지 못할 때 언어의 줄다리기 경기가 시작된다.

 지난 7월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절름발이’ 표현을 쓴 이광재 의원의 발언을 지적했을 때 보이던 대중의 반응을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누굴 지칭한 것도 아닌데 이게 왜 장애인 비하 발언이냐.’ ‘흔히 쓰는 비유도 못 하느냐괜한 트집 잡는다.’ 와 같은 반응은 이미 장애인에 대한 차별용어로 인식하는 문제의식과 충돌한다사실 절름발이라는 표현은 사람이 아니라 정책이나 상황을 말하는 비유 표현이어도 자제해야 한다.’고 장애인단체국가인권위원회한국기자협회 등이 수년 전부터 밝혀왔다또 사전에 나오는 관용구나 속담도 장애인 인권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위 논란은 이광재 의원의 사과로 일단락되었지만왠지 씁쓸함이 남는다.

 언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생성과 쇠퇴의 길을 걷는다언어가 그 사회의 가치와 관념들을 담고 있는 만큼가치가 변화함에 따라 언어가 변화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우리가 관습처럼 사용했던 언어 표현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지 않으면기존의 이데올로기를 답습하고 고정화하게 된다스스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들을 점검하고표현들에 민감해지고언어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지금의 사회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더 깊이 있게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언어감수성이 인권감수성과 별개일 수 없는 이유이다.
  
 이런 언어감수성은 세상의 소식을 전달하는 언론인들에게 더욱더 요구될 수밖에 없다기자는 자신의 관점에 따라 단어를 선택하고글을 쓴다그리고 그 기사를 읽는 사람들의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그래서 기자의 관점은 영향력이 매우 크다.

 아쉽게도 기자의 언어감수성이 사회의식을 반영하지 못한 사례는 흔치 않게 볼 수 있다. ‘비혼’ 대신 미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교통사고의 가해자가 여성인 경우 여성 차량이라고 표기한다심지어 미망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또 텔레그램 N번방 성착취물을 음란물, ‘비장애인을 정상인으로 표현한다.

 누구보다 민감한 언어감수성을 가져야 할 전문가이지만사회의 높은 인권의식에 뒤처지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다전문기자가 되기 위해 또는 양성하기 위해 실무적이고 기술적인 교육에 집중한 반면인권교육에는 별 관심이 없다평소에 얼마나 인권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관련 교육이나 정보는 지속적으로 받아보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언어의 줄다리기’ 저자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사용해왔던 표현들이 마음에 걸리기 시작하고 이 말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는 것이 곧 언어 감수성이라는 근육이 생긴 것이라 말한다습관적으로 사용하던 언어들을 민감하게 관찰하고누구의 관점으로 쓸 것인지단어 선택의 기준이 무엇이 되어야 할지 고민하는 것이야말로 언론인들이 언어감수성의 근육을 키우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언어사용을 지적 받기보다 언어의 감수성을 자극하는 언론을 기대해본다. (2020.09.09)

3672788535_yQiLIhb2_58bcc718a1ea8dc507d7f592d340973bf2b24daa.png

제201차 언론피해구조본부 실행위원회
○ 2020년 9월 14일 (월) 오후 12시 
○ 언론인권센터 강의실

2020 청년 미디어인권교육
○ 2020년 9월 15일 (화) 오후 7시
○ 온라인 

N번방 미디어 2차 피해 토론회
○ 2020년 9월 16일 (수) 오후 2시
○ 온라인 
 
3672788535_KYwCgtWD_2598f11d573badbe8a017ab84ecb0382af62dce7.png3672788535_S7JawR4y_4ed292c5a7c68040e1c605d0dede502fd724485b.png3672788535_baknejZy_b956c6667f8cd886224b203850565d1b7bcb8c1d.png3672788535_cpjG4tfM_02e464212093683278e8cc9321d6a89d5261042d.png3672788535_0tPEVF4H_75f39b90d30aac61e208c30aa0976e5527537cfb.png

3672788535_8KCfNdlX_42993a44148ab9698174c112cdd51fd3cf4c4ef3.jpg

 언론인권센터는 지난 2002년 언론보도 피해자와 학자, 변호사 등 전문가와 시민활동가, 언론개혁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이 참여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언론인권센터는 언론보도 피해자 상담 및 구조활동, 정보공개청구활동, 언론관계법 개정활동은 물론, 청소년이나 정보소외계층 등을 대상으로 미디어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언론인권센터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후원으로 함께 응원해주시겠어요?

관련자료

공지사항